초보) 주식에 대해 알아보기(feat.주식시장,주식지수)
본문 바로가기
주식

초보) 주식에 대해 알아보기(feat.주식시장,주식지수)

by 리스폰. 2025. 1. 12.
728x90
반응형

 

주식을 처음 시작하게되면

코스피,코스닥, 나스닥등 뉴스나 미디어에서 접한

용어들은 들어봤지만 제대로 어떤의미인지는 

모르고 시작하게 됩니다.

 

우리가 거래하는 주식

어떻게 시작되었으며, 어디서 거래하며, 어떤 종류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주식의 시작은 네델란드입니다.

주식의 역사는 16세기 유럽에서부터 발전되었는데, 

1,500년대 후반, 유럽상인들은 자본을 모아 대규모

거래를 할 수 있는 기업을 만들었다고합니다.

 

15~17세기에는 대항해시대라고 불리는데요.

게임도있어서 한번쯤 들어봤을겁니다.

이때 신항로개척을 통해 교역으로 엄청난 부

축척할 수 있었지만,

실패에 대한 위험부담(무한책임제도)도 크기때문에 쉽게

신항로 개척에 뛰어들지 못하게 됩니다.

 

이때 등장한 것이 '유한책임제도'와  '주식회사'입니다.

유한책임이란 사업에 실패하더라도 투자자가 투자한 금액의

한도 내에서만 책임을 지게하는 제도입니다.

회사는 자본금을 주식을 발행하고 투자자에게

사업에 대한 지분을 주게되고, 사업에 대한 이익을

지분으로 나누어 주게 됩니다.

이러한 개념을 갖는 최초의 주식회사가 바로 네델란드의

동인도 회사입니다.

결국 내가 투자한 금액에 대한 책임만 지면 되기때문에

이제도는 결국 네델란드를 최대 강대국의 지위까지

확보하게 되며, 최초의 증권거래소가 암스테르담에

생겨나게 됩니다.

 

※ 무한책임과 유한책임의 차이를 간단하게 보면

   무한책임은 출자액 이상의 채무변제,

    유한책임은 출자액 한도로 채무변제

   

이렇게 발전한 주식은

거래를 하기위해 나라별로 거래소에서

주식을 사고팔게 됩니다.

 

현재 한국은  한국거래소(KRX)

  •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 나스닥(NASDAQ), 아멕스(NYSE Amex)
  • 일본: 도쿄 증권거래소(TSE)
  • 중국: 상하이 증권거래소(SSE), 선전 증권거래소(SZSE)
  • 홍콩: 홍콩 증권거래소(HKEX)
  • 유럽: 유로넥스트
  • 영국: 런던 증권거래소(LSE)
  • 캐나다: 토론토 증권거래소(TSX)
  • 인도: 봄베이 증권거래소(BSE)

등이 있습니다.

 

이때  거래소와 직접 거래는 회원만

상장 증권의 매매가 가능한데, 즉

금융투자회사, 은행만 거래가 가능하게되며

우리는 최종적으로 금융투자회사(증권사)에서

주식을 사고 팔 수 있습니다.

 

※ 여기서 증권사는 유가증권의 발행과 유통을

주업으로 삼는 회사로, 곧 기업을 위해 주식과 채권을

만들어주고 이것을 거래하려는 사람들을 위해

주식과 채권을 사고파는 회사입니다.

 

한국의 증권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 KB증권
  • IBK투자증권
  • 미래에셋증권
  • 삼성증권
  • 한국투자증권
  • NH투자증권
  • 교보증권
  • iM증권
  • 현대차증권
  • 키움증권

증권사에서 주식을 구매하려고보면

이때 코스피, 코스닥을 접하게 됩니다.

 

코스피란?

코스피(KOSPI)는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의 약자로 2가지 의미로 쓰입니다.
 

  • 코스피 시장: 우리나라 대표 주식 시장으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같은 대형 기업들의 주식이 거래돼요. 정식 명칭은 ‘유가증권시장’이에요.

  • 코스피 지수: 코스피 시장에 상장*된 모든 기업의 주가(주식 가격)를 종합적으로 계산한 값(주가지수)을 뜻해요. 주식은 기업의 미래 가치를 반영하는데요. 주가가 높으면 그만큼 시장 가치가 높다고 인정받은 거예요. 코스피 지수는 우리나라 대표 기업들의 주식을 종합한 만큼, 코스피 지수가 높으면 우리나라 경기가 좋다고 볼 수 있는 거죠.

*상장이란 회사 주식을 공식적으로 사고팔기 위해 시장에 등록하는 걸 말해요.

💡 주가지수란?

주가지수는 주식 가격이 과거에 비해 얼마나 오르고 내렸는지 보여주는 지표예요. 주가지수를 보고 주식 시장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요.

✅ 코스피 지수 의미

지금의 코스피 지수는 1983년부터 계산하기 시작했는데요. 이보다 3년 빠른 1980년 1월 4일을 기준으로 해요. 코스피 지수는 현재 시가총액을 당시 코스피 시장에 상장한 기업들의 시가총액*으로 나눠 100을 곱해 계산해요.

*시가총액 = 1주 가격 x 발행 주식 수. 기업의 시장 가치를 보여줘요. 

코스피 지수 = 현재 시가총액 ÷ 1980년 1월 4일 시가총액 × 100

1980년 1월 4일의 시가총액 합이 100포인트예요. 만약 코스피가 2,600이라면 1980년에 비해 26배 커졌다는 뜻이에요.

✅ 코스피 상장 요건

코스피에 상장하려면 기업이 3년 이상 영업해 왔고, 자기자본이 300억원 이상, 상장하는 주식 수가 100만 주 이상이어야 해요. 또 최근 매출액이나 시장 등록 당시 시가총액이 일정 수준을 넘어야 하는 등의 요건도 있고요.

 

 

코스닥이란?

코스닥(KOSDAQ)은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s의 약자로 마찬가지로 2가지 의미로 쓰여요.
 

  • 코스닥 시장: 우리나라 중소기업, 벤처기업이 거래되는 주식 시장이에요. 셀트리온제약 같은 바이오 기업, CJ ENM 같은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주식이 거래되는데요. 코스피와 차이점은, 코스닥의 시가총액이 코스피보다 작기 때문에 주가 변동성이 더 큰 편이에요. 

  • 코스닥 지수: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기업들의 주식 가격을 종합적으로 계산한 주가지수를 뜻해요. 

✅ 코스닥 지수 의미

코스닥 지수도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기업들의 시가총액을 가지고 계산해요. 코스닥 시장은 1996년 7월 1일에 처음 개장했는데요. 현재 시가총액을 당시 시가총액으로 나눠 1,000을 곱해 계산해요.

코스닥 지수 = 현재 시가총액 ÷ 코스피 개장 당시 시가총액 × 1,000

✅ 코스닥 상장 요건

코스닥 시장은 코스피보다 문턱이 낮아요. 여러 요건 중 하나를 충족하면 되는데요. 예를 들어 시가총액이 1,000억원 이상이거나 자기자본이 250억원 이상이면 돼요.

 

코스피, 코스닥의 차이점 이해되셨나요? 앞으로 주식 용어를 하나씩 알아두면 주식, 펀드, ETF(상장지수펀드) 등 다양한 금융 상품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거예요. 

 

코스피, 코스닥 요약

  • 코스피란 우리나라 대표 주식 시장인 코스피 시장에 상장된 우리나라 대형 기업들의 주가지수예요.
  • 코스닥이란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우리나라 중소기업, 벤처기업들의 주가지수예요.

 

 

코스피 코스닥 차이점

구분 코스피 코스닥
상장 기업 대형 기업 중소기업, 벤처기업
상장 요건 3년 이상 영업
자기자본 300억원 이상
100만 주 이상 상장 등
시가총액 1,000억원 이상
또는
자기자본 250억원 이상 등
대표 기업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차
에코프로비엠
JYP Ent.
카카오게임즈

 

 

이처럼 기업의 규모등으로 분류 되며, 각각의 주가지수를 가지게되는데

세계경제의 중심이 되는 미국의 주가지수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1)다우지수(다우 존스 산업평균 지수)

다우 존스 산업평균 지수는 미국 증시를 대표하는 주가지수 중 하나입니다.

다우 지수의 경우 코스피, 코스닥, s&p500, 나스닥 등과는 계산 방식에서

차이를 보이는데, 코스피 등 대부분의 주가지수는 전체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계산되는 반면, 다우 지수는 수정 주가 평균 방식을 통해 산출 됩니다.

지수 구성 종목들의 전체 시가총액이 아니라 주가의 평균을 활용하여

지수를 산출하는 방식입니다.

 

다우 존스사가 가장 신용있고 안정된 주식 30개를 표본으로기 때문에

미국 주식 전체를 대표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2)나스닥 지수

시가총액을 기준방식으로 지수가 산출되며,

총 100개의 기업이 나스닥 지수에 등록되어있습니다.

구글,애플,테슬라,아마존 등으로 세계 대표 성장 지수로 꼽히고 있습니다.

 

3)s&p500 지수

기업규모,유동성, 산업 대표성을 감안하여 선정한

보통주 500종목을 대상으로 하는 주가지수입니다.

기본적으로  s&p500이 미국 전체 주식에 대한 더 높은

대표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때문에 미국 시장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잇고, 미국에서

가장 활용도가 높은 대표 지수입니다.

 

 

 

728x90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반기 미국증시  (0) 2022.07.03
코스피 상반기 -22%  (0) 2022.07.03
바이비트(bybit) 수수료할인  (1) 2021.12.23
바이비트(bybit) 수수료 20%할인 코드  (2) 2021.12.1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