햄버거병[용혈성요독증후군]
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이슈

햄버거병[용혈성요독증후군]

by 리스폰. 2020. 6. 25.
728x90
반응형

 


기도 안산의 한 유치원에서 어린이와 교사, 가족 등이 식중독 증상으로 치료받았다. 현재까지 확인된 환자 수만 100명에 달한다. 일부는 일명 '햄버거병'으로 불리는 용혈성 요독증후군(HUS) 증상까지 보였다.
 
25일 안산시 등에 따르면 상록구 A유치원에서 지난 16일부터 식중독 증상을 보이는 환자가 나오기 시작했다. 처음 4명의 어린이를 시작으로 17일에는 10명의 원생이 복통·설사 증세를 보였다.
 
안산시 조사 결과 현재까지 이 유치원과 관련해 100명이 설사·복통·발열 등 증상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 중 어린이 19명과 가족 3명 등 22명은 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고 있다.
 
해당 유치원에는 167명의 어린이가 다니고 있다. 교직원과 조리 종사자는 28명이다. 안산시는 신속대응반을 꾸려 역학조사 등에 나섰다. 먼저 원생과 교직원 등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진행했다. 2차로 식중독 증상이 심한 원생의 가족 등 58명과 식재료 납품업체 직원 3명 등 84명도 검사했다.
 
검사결과 원생 42명과 교사 1명에게서 장 출혈성 대장균이 검출됐다. 장 출혈성 대장균은 제대로 익히지 않은 소고기나 오염된 음식 등을 먹었을 때 감염되는 병원성 대장균의 일종이다. 심한 경련성 복통, 구토, 미열과 함께 설사가 동반되는 게 특징이다. 
 

 


입원 치료를 받는 환자 중 14명은 용혈성 요독증후군 증상까지 보였다. 이들 중 5명은 신장투석 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증후군은 장 출혈성 대장균으로 인한 합병증 중 하나로 1982년 미국에서 덜 익힌 패티가 든 햄버거를 먹은 어린이 수십명이 집단 감염되면서 '햄버거병'으로 불린다. 이 증후군은 단시간 내에 신장 기능을 손상시켜 용혈성 빈혈, 혈소판 감염증, 급성 신부전 등 증상이 나타난다.
 
집단 식중독 환자가 발생하면서 A유치원은 이달 30일까지 폐쇄 명령이 내려졌다. 안산시는 정확한 감염 원인을 조사하기 위해 유치원에서 보관하고 있던 음식과 조리기구, 문고리, 교실, 화장실, 식재료 납품업체 조리기구 등 모두 104건의 환경 검체를 채취해 조사하고 있다. 현재 84건에서 대장균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20건은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안산시는 조사 과정에서 A유치원이 식중독 발생 등을 대비해 일정 기간 보관하고 있어야 할 음식 재료를 보관하지 않은 것을 확인해 과태료를 부과했다. 다른 유치원에서도 원아 8명과 교사 1명이 노로바이러스로 의심되는 식중독 증상을 호소해 조사하고 있다. 
 
안산시 관계자는 "아직 A유치원에서 식중독을 유발한 음식이나 식사 시기 등을 특정하지 못한 상태"라며 "추가 감염을 막기 위해 원생과 교직원 가족에 대한 전수 검사를 이어나가는 한편 철저하게 역학 조사하고, 위법사항이 적발되면 고발조치 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중앙일보] 안산유치원 식중독 100명, 22명 입원…일부 '햄버거병' 증상도


 

햄버거병에대한 기사와 사람들의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데요.

기사에나온 '햄버거병'은 단기간에 신장을 망가뜨리는 희귀질환 이라고 하는데 정식 명칭은 '용혈성요독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일명 '햄버거병'은 장출형성대장균감염증의 일종으로 신장이 불순물을 제대로 걸러주지 못해 체내에 쌓이면서 발생하게 된다고 하는데요.

 

고기를 잘 익히지 않고 먹거나, 살균되지 않은 우유 또는 오염된 야채 등을 섭취하면 걸릴 수 있다고합니다. 성인보다는 주로 영유아나 노인에게서 발병 빈도가 높고 사망률이 5~10%가 된다고하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증상으로는 몸이 붓거나, 혈압이 높아지기도 하며 경련이나 혼수 등의 신경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적절한 치료가 이뤄지지 않으면 신장 기능이 크게 망가지거나, 용혈성빈혈.혈소판감소증과 같은 합병증에 시달릴 수 있다고합니다. 아직까지 적절한 예방법 및 치료법은 없으며 신장 기능이 손상된 경우에는 투석, 수혈 등의 조치가 이뤄지는게 일반적이라고 하니 영유아 아이의 어머니들은 걱정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